본문 바로가기
프론트엔드

네트워크의 기본 구조와 개념 이해하기

by parkjongdi 2025. 5. 12.
728x90
반응형

네트워크 기초 지식

네트워크의 종류

LAN (Local Area Network)

  • 건물이나 캠퍼스 같은 제한된 지역 내의 네트워크
  •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(10Mbps~10Gbps)
  •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안정성
  • 대표적 기술: 이더넷, Wi-Fi
  • 사용 사례: 가정, 사무실, 학교 네트워크

MAN (Metropolitan Area Network)

  • 도시 규모의 지역을 커버하는 중간 크기 네트워크
  • 여러 LAN을 연결하는 형태
  • LAN보다는 느리지만 WAN보다는 빠른 속도
  • 대표적 기술: DQDB, SMDS, ATM
  • 사용 사례: 도시 행정망, 케이블 TV 네트워크

WAN (Wide Area Network)

  • 국가나 대륙처럼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
  • 다양한 통신 기술과 장비 사용
  •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와 높은 지연시간
  • 대표적 기술: MPLS, Frame Relay, 인터넷
  • 사용 사례: 글로벌 기업 네트워크, 인터넷

네트워크 계층: OSI 7계층 모델

7계층: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  •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
  • 주요 프로토콜: HTTP, SMTP, FTP, DNS

6계층: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
  • 데이터 형식 변환, 암호화, 압축 담당
  • JPEG, MPEG, SSL/TLS

5계층: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
  • 통신 세션 수립, 유지, 종료 관리
  • NetBIOS, RPC

4계층: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
  • 종단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보장
  • TCP, UDP

3계층: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
  • 다른 네트워크 간 라우팅 담당
  • IP, ICMP, RIP, OSPF

2계층: 데이터 링크 계층 (Data Link Layer)

  • 직접 연결된 두 노드 간 통신 관리
  • 이더넷, PPP, ARP, VLAN

1계층: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
  • 비트 전송을 위한 전기적, 기계적 특성 정의
  • RS-232, 이더넷 케이블, 광섬유

데이터 캡슐화

캡슐화 (Encapsulation)

  •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각 계층의 헤더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
  • 7계층에서 1계층으로 내려가며 헤더 추가
  • 데이터 → 세그먼트/데이터그램 → 패킷 → 프레임 → 비트

역캡슐화 (Decapsulation)

  •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각 계층의 헤더를 제거하는 과정
  • 1계층에서 7계층으로 올라가며 헤더 제거
  • 비트 → 프레임 → 패킷 → 세그먼트/데이터그램 → 데이터

중요성

  • 계층별 독립적 기능 수행 가능
  • 네트워크 문제 발생 시 특정 계층만 분석 가능
  •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호환성 보장
  •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분할
728x90
반응형